유튜브 채널 삭제·경고·정지 예방 숙청 주의 | 2025년 210만 채널 삭제 사태로 본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생존 전략
2025년 4월부터 6월까지 단 3개월 동안 유튜브는 210만 5,778개의 채널을 영구 삭제했습니다. 이 채널들이 보유했던 5,501만 5,741개의 영상도 함께 사라졌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1,140만 8,261개의 개별 영상이 삭제되었고, 14억 4,800만 3,664개의 댓글이 제거되었습니다. 이 숫자는 단순한 통계가 아닙니다. 수많은 크리에이터가 수개월, 수년간 쌓아온 노력과 수익이 한순간에 증발했다는 의미입니다. 삭제된 채널의 76%는 스팸과 기만 행위 때문이었고, 자동 감지 시스템이 삭제 영상의 97.2%를 처리했습니다.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위반은 90일 내 경고 3회로 채널이 영구 폐쇄되며, 심각한 악용 사례는 단 1회로도 계정이 해지됩니다. 이 가이드는 유튜브 공식 투명성 보고서와 정책 문서를 기반으로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저작권 정책, 수익 창출 규정을 정확하게 분석합니다. 불펌·베끼기·도용 같은 타인 콘텐츠 무단 사용이 얼마나 치명적인지 명확히 제시하며, EDSA 예외 활용법과 구체적 예방 체크리스트로 채널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1. 2025년 대규모 삭제 사태의 공식 데이터와 크리에이터가 직면한 현실
2025년 2분기 유튜브 커뮤니티 가이드 시정 조치 보고서는 플랫폼의 강력한 정책 집행을 보여줍니다. 210만 5,778개의 채널이 폐쇄되었으며, 이는 하루 평균 약 2만 3,000개의 채널이 사라졌다는 의미입니다. 채널이 폐쇄되면 채널의 모든 동영상이 삭제되므로, 이 기간 동안 채널 수준 해지로 인해 삭제된 동영상 수는 5,501만 5,741개에 달합니다.
유튜브 계정 삭제 숙청 리스트 - 원인과 유형
1) 채널 삭제 사유별 공식 통계와 스팸의 압도적 비중
스팸, 기만 행위, 사기로 삭제된 채널은 159만 9,684개로 전체의 76.0%를 차지합니다. 이는 가짜 조회수 구매, 자동 댓글 봇, 클릭 유도 링크, 반복 게시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아동 보호 위반은 15만 8,480개 채널(7.5%)이 삭제되었습니다. 과도한 노출 또는 성적인 콘텐츠는 12만 8,838개(6.1%)입니다. 잘못된 정보로 인한 삭제는 6만 6,096개(3.1%)이며, 유해하거나 위험한 콘텐츠는 4만 8,309개(2.3%)입니다.
증오성 또는 악의적인 콘텐츠는 3만 7,154개(1.8%), 폭력 조장 및 폭력적 극단주의는 3만 743개(1.5%), 폭력적 또는 노골적 콘텐츠는 1만 2,322개(0.6%)가 삭제되었습니다. 괴롭힘과 사이버 폭력은 8,509개(0.4%), 여러 정책 위반은 5,673개(0.3%)입니다.
90일 이내에 하나 이상의 정책을 위반하여 커뮤니티 가이드 위반 경고를 3회 받아 폐쇄되는 채널은 '여러 정책 위반'이라는 별도의 라벨로 분류됩니다.
2) 영상 삭제 데이터로 본 자동 감지 시스템의 작동 현황
1,140만 8,261개의 영상이 삭제되었으며, 이 중 1,108만 7,706개(97.2%)는 자동 감지로 차단되었습니다. 사용자 신고는 28만 461개(2.5%), 조직(NGO 및 정부 기관 등 우선 신고자 프로그램 구성원) 신고는 4만 94개(0.4%)입니다.
조회수 기준으로 보면 48.77%는 조회수 0회, 35.64%는 1-10회, 7.03%는 11-100회, 5.28%는 101-1,000회, 2.11%는 1,001-10,000회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조회수 1만 회 초과 영상은 1.17%에 불과합니다.
삭제 사유별로는 아동 보호가 684만 7,361개(60.0%)로 가장 많으며, 괴롭힘과 사이버 폭력이 132만 7,197개(11.6%), 유해하거나 위험한 콘텐츠가 108만 407개(9.5%)입니다. 폭력적 또는 노골적 콘텐츠는 78만 7,928개(6.9%), 과도한 노출 또는 성적인 콘텐츠는 55만 6,089개(4.9%)입니다.
폭력 조장 및 폭력적 극단주의는 31만 2,046개(2.7%), 증오성 또는 악의적인 콘텐츠는 17만 6,683개(1.5%), 기타는 13만 5,357개(1.2%), 잘못된 정보는 12만 1,698개(1.1%), 스팸·기만 행위·사기는 6만 3,495개(0.6%)입니다.
3) 댓글 삭제 14억 건의 의미와 커뮤니티 관리의 중요성
2025년 2분기 동안 14억 4,800만 3,664개의 댓글이 삭제되었습니다. 이 중 14억 4,332만 5,932개(99.7%)는 자동 신고로 차단되었고, 사람의 신고는 467만 7,732개(0.3%)입니다.
댓글 삭제의 79.8%는 스팸, 기만 행위, 사기(11억 5,584만 6,359개) 때문입니다. 괴롭힘 및 사이버 폭력은 1억 580만 180개(6.9%), 아동 보호는 9,991만 1,712개(6.9%), 폭력 조장 및 폭력적 극단주의는 7,467만 2,597개(5.2%)가 삭제되었습니다.
증오성 또는 악의적인 콘텐츠는 1,238만 7,071개(0.9%), 기타는 417만 8,887개(0.3%), 유해하거나 위험한 콘텐츠는 24만 9,420개(0.02%), 과도한 노출 또는 성적인 콘텐츠는 14만 7,608개(0.01%), 폭력적 또는 노골적인 콘텐츠는 2만 9,830개(0.002%)입니다.
이 데이터에는 YouTube에서 동영상의 댓글 섹션을 사용 중지했을 때 삭제된 댓글, 동영상 자체가 삭제되었을 때의 댓글, 댓글 작성자의 계정이 폐쇄되었을 때의 댓글, 사용자가 특정 댓글을 삭제 또는 검토를 위해 보류했을 때의 댓글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4) 국가별 삭제 통계 (동영상 기준)
국가별로는 인도가 295만 8,990개로 가장 많고, 브라질 127만 5,841개, 인도네시아 116만 7,015개, 미국 111만 2,656개, 방글라데시 38만 9,166개, 러시아 26만 3,143개, 파키스탄 22만 6,438개, 필리핀 22만 3,335개, 튀르키예 21만 932개, 태국 18만 5,079개 순입니다.
이 데이터는 동영상이 업로드된 시점을 기준으로 업로더의 IP 주소를 기반으로 합니다. YouTube 커뮤니티 가이드는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지역에 상관없이 전 세계에서 일관적으로 시행됩니다.
2. 절대 금지: 남의 콘텐츠 탐내지 마라 - 저작권 위반의 명확한 결과
타인의 콘텐츠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행위는 유튜브에서 채널을 잃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저작권은 저작권자의 창의적인 표현이 담긴 원본 저작물을 보호하는 지적 재산권법의 한 형태입니다. 크리에이터는 자신이 제작했거나 사용 승인을 받은 동영상만 업로드해야 합니다.
1) 저작권의 기본 원칙과 금지 사항
본인이 제작하지 않은 동영상을 업로드하거나, 다른 사람이 저작권을 소유한 콘텐츠(음악 트랙, 저작권 보호 프로그램의 일부, 다른 크리에이터가 만든 동영상)를 허가 없이 동영상에 사용하면 안 됩니다.
불법 복제(불펌), 대본 도용, 썸네일 복사, 영상 재업로드는 모두 저작권 침해에 해당합니다. AI 생성 콘텐츠도 원본 저작물을 기반으로 한 경우 동일한 저작권 규정이 적용됩니다.
YouTube에는 내가 소유한 콘텐츠가 허가 없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콘텐츠를 부정 사용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도구가 있습니다. YouTube 채널이 있으면 누구나 저작권 게시 중단 웹 양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Match Tool은 내 원본 동영상이 다른 YouTube 채널에 그대로 다시 업로드된 경우를 찾아냅니다. 일치가 확인되면 YouTube 스튜디오에서 이를 검토하고 어떤 조치를 취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보관, 삭제 요청 또는 채널에 문의).
동영상을 살펴본 후, 원한다면 게시 중단 요청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 게시 중단 웹 양식은 대부분의 저작권 소유자가 저작권 게시 중단을 요청할 수 있는 가장 빠르고 간단한 방법입니다.
3.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핵심 정책과 위반 시 조치
YouTube 커뮤니티 가이드는 YouTube를 모두에게 재미있고 즐거운 공간으로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이 정책은 일부 공개 및 비공개 콘텐츠, 댓글, 링크, 게시물, 썸네일 등 플랫폼에 존재하는 모든 유형의 콘텐츠에 적용됩니다.
1) 스팸 및 기만 행위 정책
YouTube 커뮤니티는 신뢰를 바탕으로 구축된 커뮤니티입니다. 다른 사용자를 상대로 사기, 현혹, 스팸, 사취하려는 의도가 있는 콘텐츠는 YouTube에서 허용되지 않습니다.
스팸, 기만 행위, 사기 관련 정책, 명의 도용 관련 정책, 외부 링크 정책, 허위 참여 정책, 재생목록 정책 등이 포함됩니다.
2025년 2분기 데이터에서 스팸은 채널 삭제의 76%, 댓글 삭제의 79.8%를 차지하는 가장 큰 위반 유형입니다.
2) 민감한 콘텐츠 정책
YouTube는 시청자, 크리에이터, 특히 미성년자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동 보호, 성행위 및 과도한 노출, 자해와 관련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과도한 노출 및 성적인 콘텐츠에 대한 정책, 썸네일 정책, 아동 보호 정책, 자살·자해·섭식 장애에 대한 정책, 저속한 언어 정책이 포함됩니다.
아동 보호는 영상 삭제의 60.0%를 차지하며, 과도한 노출 또는 성적인 콘텐츠는 채널 삭제의 6.1%를 차지합니다.
3) 폭력적이거나 위험한 콘텐츠 정책
증오심 표현, 약탈적 행위, 노골적인 폭력 묘사, 악의적인 공격, 유해하거나 위험한 행동을 조장하는 콘텐츠는 YouTube에서 허용되지 않습니다.
유해하거나 위험한 콘텐츠에 대한 정책, 폭력적이거나 노골적인 콘텐츠에 대한 정책, 폭력 범죄 조직에 대한 정책, 증오심 표현에 대한 정책, 괴롭힘 및 사이버 폭력에 대한 정책이 포함됩니다.
괴롭힘과 사이버 폭력은 영상 삭제의 11.6%, 댓글 삭제의 6.9%를 차지합니다.
4) 규제 상품과 잘못된 정보 정책
특정 상품은 YouTube에서 판매할 수 없습니다. 불법 또는 규제 상품과 서비스 판매에 대한 정책, 총기류에 대한 정책이 적용됩니다.
혼동을 야기하거나 사기성 정보로 큰 피해를 입힐 심각한 위험이 있는 특정 유형의 콘텐츠는 YouTube에서 허용되지 않습니다. 잘못된 정보 관련 정책, 잘못된 선거 정보 관련 정책, 잘못된 의료 정보 관련 정책이 포함됩니다.
잘못된 정보는 채널 삭제의 3.1%를 차지합니다.
4. 수익 창출 정책과 광고주 친화적 콘텐츠 가이드라인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크리에이터는 광고 수익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긴 형식 동영상, Shorts 동영상, 라이브 스트림, 썸네일, 제목, 설명, 태그 등 콘텐츠의 모든 부분에 YouTube 정책이 적용됩니다. 이 또한 광고주 보호를 위하여 구글에서는 광고주 친화적인 콘텐츠 가이드라인 이라는 공식 문서를 작성하여 크리에이터 분들께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광고주 친화적 콘텐츠의 기본 원칙
YouTube에 업로드되는 모든 콘텐츠는 커뮤니티 가이드와 프로그램 정책을 모두 준수해야 합니다. 커뮤니티 가이드를 위반하는 콘텐츠는 YouTube에서 삭제될 수 있습니다.
광고 게재에 적합하지 않아 수익 창출이 '광고 제한 또는 배제' 상태가 될 수 있는 콘텐츠의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적절한 언어, 폭력, 성인용 콘텐츠, 충격적인 콘텐츠, 유해한 행위 및 신뢰할 수 없는 콘텐츠, 증오성 콘텐츠 및 경멸적인 콘텐츠, 기분전환용 약물 및 마약 관련 콘텐츠, 총기 관련 콘텐츠, 논란의 소지가 있는 문제, 민감한 사건, 부정 행위 조장, 아동과 가족에게 부적절한 콘텐츠, 도발·비하, 담배 관련 콘텐츠.
맥락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뮤직비디오와 같은 예술적 콘텐츠는 부적절한 언어, 기분전환용 약물에 대한 언급 또는 음란하지 않은 성적인 주제와 같은 요소를 포함하더라도 광고가 게재되기에 적합할 수 있습니다.
2) 부적절한 언어와 폭력 콘텐츠
동영상의 시작 부분이나 대부분에 욕설이나 저속한 내용이 포함된 콘텐츠는 광고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뮤직비디오, 배경 트랙, 인트로 및 아우트로 음악, 백그라운드에서 재생되는 음악 등에서 욕설을 이따금 사용한다고 해서 광고가 게재되기에 반드시 부적합한 것은 아닙니다.
다른 맥락 없이 유혈, 폭력 또는 부상을 집중적으로 묘사하는 콘텐츠는 광고가 게재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뉴스, 교육, 예술 또는 다큐멘터리와 관련된 폭력적인 콘텐츠는 추가적인 맥락이 중요합니다.
편집되지 않은 비디오 게임플레이 과정에서 폭력성이 나타나는 경우 일반적으로 광고가 허용되지만, 불필요하게 폭력에 중점을 둔 편집 영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모든 게임(사실적이든 사실적이지 않든)은 이 정책의 적용을 받습니다.
3) 성인용 콘텐츠와 충격적인 콘텐츠
지나치게 성적인 내용이 제목이나 썸네일에 포함되거나 성적 주제가 지나치게 강조된 콘텐츠는 광고가 게재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장면이 없는 성교육 동영상과 뮤직비디오는 제한적으로 예외를 둡니다.
이 정책에는 실제 영상과 컴퓨터 생성 영상이 모두 포함됩니다. 희극적 의도를 명시한다고 해도 지나치게 성적인 콘텐츠는 광고가 게재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시청자에게 혼란, 혐오감 또는 충격을 줄 수 있는 콘텐츠는 광고가 게재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림 처리되지 않은 충격적인 요소가 있다고 해서 광고가 게재되기에 반드시 부적합한 것은 아니지만 맥락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민감한 사건과 논란의 소지가 있는 문제
2022년 3월 23일부터 우크라이나에서 현재 진행 중인 전쟁으로 인해 전쟁을 부당하게 이용하거나 부정하거나 용인하는 콘텐츠는 추후 공지가 있을 때까지 수익을 창출할 수 없습니다.
'민감한 사건'이란 관련성 높은 양질의 정보와 사실을 제공하고 주요 기능 및 수익 창출 기능에서 무책임하거나 부적절한 콘텐츠를 줄이는 Google의 능력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사건이나 상황의 전개를 말합니다.
'논란의 소지가 있는 문제'는 시청자를 불안하게 만드는 주제로, 인간이 일으킨 참사의 결과를 다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동 학대, 성인에 대한 성적 학대, 성희롱, 자해, 자살, 섭식 장애, 가정 폭력, 낙태, 안락사 등이 포함됩니다. 노골적인 이미지가 없거나 해설만으로 이루어진 콘텐츠에도 이 정책이 적용됩니다.
교육(Educational): 학습 목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입니다. 예를 들어 역사 수업, 의학 교육 등이 해당됩니다.
다큐멘터리(Documentary): 사실 기반의 심층 보도 콘텐츠입니다. 사회 문제, 역사적 사건, 과학적 현상 등을 다룹니다.
과학(Scientific): 실험, 연구, 분석을 포함하는 과학적 콘텐츠입니다.
예술(Artistic): 창작 표현으로서의 예술 콘텐츠입니다. 뮤직비디오, 영화, 연극 등이 포함됩니다.
2) EDSA 평가 방법
YouTube는 EDSA 콘텐츠를 평가할 때 맥락의 명확성, 교육적 가치, 공익적 목적, 노골적 요소의 최소화 등을 고려합니다.
전 세계 YouTube 검토팀은 신고된 동영상을 검토하여 서비스 약관을 위반하는 콘텐츠를 삭제하거나, 동영상을 제한하거나(예: 일부 시청자층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 연령 제한 콘텐츠), 가이드를 위반하지 않거나 교육, 다큐멘터리, 과학 또는 예술 맥락에서 예외로 인정되는 경우 콘텐츠를 게시된 상태로 유지합니다.
3) EDSA 적용 시 고려사항
EDSA 예외를 받으려면 콘텐츠의 목적과 맥락이 명확해야 합니다. 제목, 설명, 콘텐츠 내 설명 등을 통해 교육적, 다큐멘터리적, 과학적, 예술적 의도를 분명히 해야 합니다.
단순히 희극적 의도를 명시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실제 교육적 가치나 예술적 가치가 있어야 합니다.
4) 크리에이터 행위에 대한 고려
YouTube 플랫폼 안팎에서 크리에이터의 행위가 YouTube 사용자, 커뮤니티, 직원이나 생태계에 해를 끼치는 경우 YouTube는 크리에이터 행위의 과실이 얼마나 심각한지, 유해한 행위에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대처할 수 있습니다.
YouTube가 취하는 조치는 크리에이터의 권한 정지부터 계정 해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6. 채널 보호를 위한 구체적 예방 체크리스트
채널 삭제와 정지를 예방하려면 업로드 전 체계적인 점검이 필수입니다. 다음은 유튜브 공식 정책에 기반한 실전 체크리스트입니다.
1) 콘텐츠 제작 전 필수 확인 사항
모든 콘텐츠가 본인이 직접 제작했거나 사용 승인을 받은 것인지 확인하세요. 타인의 동영상, 음악, 이미지, 대본을 무단으로 사용하지 마세요.
로열티 프리 음악과 이미지만 사용하세요. YouTube Audio Library, Artlist, Epidemic Sound, Pixabay 등 공식 라이선스가 있는 자원을 이용하세요.
공정 사용을 주장할 경우 논평, 비평, 교육, 뉴스 보도 목적이 명확한지 확인하세요. 단순 재업로드는 공정 사용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2) 업로드 전 콘텐츠 검토 체크리스트
커뮤니티 가이드 위반 요소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스팸·기만 행위, 과도한 노출·성적 콘텐츠, 아동 보호 위반, 폭력·증오·괴롭힘, 유해하거나 위험한 콘텐츠, 잘못된 정보.
썸네일이 과도한 노출, 폭력, 성적 강조를 포함하지 않는지 확인하세요. 썸네일도 커뮤니티 가이드의 적용 대상입니다.
제목과 설명이 클릭베이트, 오해를 유발하는 표현, 부적절한 언어를 포함하지 않는지 확인하세요.
댓글 필터를 활성화하고, 부적절한 댓글을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설정하세요.
3) 수익 창출 채널을 위한 추가 체크리스트
광고주 친화적 콘텐츠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지 확인하세요. 부적절한 언어, 폭력, 성인용 콘텐츠, 충격적인 콘텐츠, 증오성 콘텐츠, 약물·총기·담배 관련 콘텐츠, 민감한 사건, 논란의 소지가 있는 문제 등을 피하세요.
자체 인증 설문지를 정확하게 작성하세요. 콘텐츠의 주제와 내용을 솔직하게 표시하면 자동 제한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아동용 콘텐츠는 Made for Kids로 정확히 표시하세요. COPPA 및 기타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 합니다.
4) 정기적인 채널 관리 체크리스트
YouTube 스튜디오에서 경고 로그를 정기적으로 확인하세요. 위반 통보가 있는지, 어떤 정책이 문제인지 파악하세요.
Copyright Match Tool을 사용해 내 원본 동영상이 다른 채널에 재업로드되었는지 확인하세요.
댓글 섹션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스팸이나 부적절한 댓글을 삭제하세요.
YouTube Creators 채널을 구독하고 최신 정책 업데이트를 확인하세요.
YouTube 도움말 센터에서 커뮤니티 가이드, 저작권 정책, 수익 창출 정책을 정기적으로 검토하세요.
7. 위반 통보 시 대응 방법
위반 통보를 받았을 때는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유튜브 공식 정책에 명시된 해결 방법을 따르세요.
1) 저작권 위반 경고 해결 방법
경고 소멸 기다리기: 저작권 위반 경고는 90일 후에 소멸됩니다. 경고를 처음 받았다면 저작권 학교를 수료해야 합니다.
신고 철회 요청: 동영상의 소유권을 주장한 사용자에게 연락하여 소유권 주장 철회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반론 통지 제출: 동영상이 실수로 삭제되었거나 공정 사용에 해당한다고 생각하는 경우 반론 통지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2) 커뮤니티 가이드 위반 시 대응
가이드라인을 위반한다고 생각되는 콘텐츠를 발견하면 신고할 수 있습니다.
YouTube 시스템이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니므로 자동화 시스템의 결정 사항에 대해 사람의 검토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90일 내에 커뮤니티 가이드 위반 경고가 3회 누적되거나, 심각한 악용 사례(약탈적 행동 등)가 1회 적발되거나, 가이드를 위반하는 데 전적인 의도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YouTube 채널이 폐쇄됩니다.
3) 수익 창출 제한 시 대응
자동 제한이 발생하면 사람 검토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맥락이 명확하고 EDSA 예외에 해당한다면 검토 후 제한이 해제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대다수가 광고주에게 적합하지 않거나 반복적이며 심각한 위반(예: 도발, 비하, 증오성 콘텐츠 업로드)이 있을 경우 YouTube는 크리에이터의 전체 채널에서 광고를 사용 중지할 권리를 보유합니다.
4) 장기적 채널 보호 전략
YouTube의 정책은 시청자, 크리에이터, 광고주가 신뢰할 수 있는 책임감 있는 비즈니스를 유지함으로써 이들이 YouTube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정책을 준수하고, 독창적인 콘텐츠를 만들며, 시청자와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채널을 보호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8. 유튜브 크리에이터 필수 정책 준수 공식 자료 및 리소스 완전 가이드
유튜브에서 채널을 안전하게 운영하려면 공식 정책 문서와 투명성 보고서를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유튜브는 크리에이터를 위한 다양한 공식 자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최신 정책 변경 사항과 삭제 통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모든 크리에이터가 반드시 알아야 하는 공식 자료와 중요 정보입니다.
1) YouTube 커뮤니티 가이드 시정 조치 투명성 보고서
유튜브는 분기별로 커뮤니티 가이드 시정 조치에 대한 투명성 보고서를 발표합니다. 이 보고서는 YouTube의 정책 시행 방식에 대한 공식 데이터를 제공하며, 삭제된 채널 수, 동영상 수, 댓글 수를 상세히 보여줍니다.
2025년 4~6월 보고서에 따르면 210만 5,778개의 채널이 삭제되었고, 채널 수준 해지로 인해 5,501만 5,741개의 동영상이 함께 삭제되었습니다. 개별 동영상 삭제는 1,140만 8,261개, 댓글 삭제는 14억 4,800만 3,664개에 달합니다.
이 보고서는 삭제 사유별 통계, 국가별 통계, 자동 감지와 사람 신고의 비율 등을 제공하므로, 어떤 위반이 가장 많은지, 자신의 콘텐츠가 위험 영역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활용 방법: 분기별로 새 보고서가 발표되면 즉시 확인하고, 삭제 사유별 통계를 분석해 자신의 채널이 위험한 카테고리에 속하지 않는지 점검하세요.
2) 광고주 친화적인 콘텐츠 가이드라인 공식 문서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YPP)에 참여하는 크리에이터는 광고 수익을 공유할 수 있지만, 광고주 친화적인 콘텐츠 가이드라인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이 문서는 어떤 동영상이 광고주에게 적합한지, 어떤 콘텐츠가 수익 제한 또는 배제 상태가 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긴 형식 동영상, Shorts 동영상, 라이브 스트림, 썸네일, 제목, 설명, 태그 등 콘텐츠의 모든 부분에 정책이 적용됩니다. 부적절한 언어, 폭력, 성인용 콘텐츠, 충격적인 콘텐츠, 유해한 행위, 증오성 콘텐츠, 약물·총기·담배 관련 콘텐츠, 논란의 소지가 있는 문제, 민감한 사건 등이 주요 부적합 주제입니다.
맥락이 매우 중요하며, 뮤직비디오와 같은 예술적 콘텐츠는 부적절한 언어나 성적 주제를 포함하더라도 광고가 게재되기에 적합할 수 있습니다. 자체 인증 설문지를 정확히 작성하면 자동 제한 확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활용 방법: 수익 창출 채널이라면 이 문서를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업로드 전 자체 인증 설문지를 정확히 작성하세요. 자동 제한이 발생하면 사람 검토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3) YouTube 커뮤니티 가이드 전체 문서
YouTube 커뮤니티 가이드는 YouTube를 모두에게 재미있고 즐거운 공간으로 유지하기 위한 기본 규칙입니다. 이 가이드라인을 위반한다고 생각되는 콘텐츠를 발견하면 신고할 수 있으며, 위반 시 경고가 누적되어 채널이 폐쇄될 수 있습니다.
이 정책은 일부 공개 및 비공개 콘텐츠, 댓글, 링크, 게시물, 썸네일 등 플랫폼에 존재하는 모든 유형의 콘텐츠에 적용됩니다. 스팸 및 기만 행위, 민감한 콘텐츠(과도한 노출, 아동 보호, 자해), 폭력적이거나 위험한 콘텐츠, 규제 상품, 잘못된 정보 등이 주요 카테고리입니다.
YouTube 커뮤니티 가이드를 위반했더라도 교육, 다큐멘터리, 과학, 예술(EDSA) 맥락을 포함하는 콘텐츠라면 경우에 따라 계속 YouTube에 표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콘텐츠에 EDSA 예외가 적용됩니다.
활용 방법: 채널 개설 시 반드시 전체 문서를 읽고, 월 1회 정기적으로 재검토하세요. 정책 변경 사항이 있는지 확인하고, 자신의 콘텐츠가 어느 카테고리에 해당하는지 파악하세요.
4) 실제 삭제 사례 250여개 채널과 불펌의 위험성
2025년 2분기 동안 210만 개의 채널과 5,500만 개의 영상이 삭제되었습니다. 삭제된 계정에 연결된 다른 계정도 함께 해지될 수 있으며, 연결된 애드센스도 계속 숙청당합니다. 내 명의로 유튜브를 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대부분의 삭제 사유는 저작권 위반, 성적 콘텐츠, 유해 콘텐츠, 개인정보 침해, 가짜 정보 생산, 전문가 사칭, 스팸, 기만, 총기류, 약물, 아동 보호 위반 등입니다. 불펌(타인 영상 무단 복제)은 확실한 삭제 사유입니다.
삭제된 동영상 사유별 통계(2025년 4~6월): 아동 보호 60.0%, 괴롭힘/사이버 폭력 11.6%, 유해하거나 위험한 콘텐츠 9.5%, 폭력적 또는 노골적 콘텐츠 6.9%, 과도한 노출 또는 성적인 콘텐츠 4.9%, 폭력 조장 및 폭력적 극단주의 2.7%, 증오성 또는 악의적 콘텐츠 1.5%, 기타 1.2%, 잘못된 정보 1.1%, 스팸·기만 행위·사기 0.6%.
경고: 남의 영상을 불펌해서 수익을 얻으려는 시도는 절대 하지 마세요. 역지사지로 생각하면 피가 거꾸로 솟는 일입니다. 불펌으로 돈을 버는 것처럼 보이는 채널도 언젠가는 삭제될 운명입니다.
5) 공정 사용의 정확한 이해와 법적 판단
공정 사용(Fair Use)은 특정 상황에서 저작권 소유자의 허가 없이 저작권 보호 자료를 재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법적 원칙입니다. 하지만 공정 사용 여부는 사안별로 결정되며, 최종 판단은 오직 법원만이 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 공식 영상에서도 "공정 사용의 판단은 법원만이 한다"고 명확히 밝히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터가 스스로 "이건 공정 사용이야"라고 주장한다고 해서 인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저작권 소유자가 이의를 제기하면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공정 사용을 미끼로 강의나 전자책을 판매하는 사람들을 조심하세요. 공정 사용은 법적으로 복잡한 영역이며, 단순히 "교육 목적"이라고 명시한다고 해서 모두 허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유튜브 공식 영상: Fair Use 공정 사용, 공정 이용에 관한 공식 영상
공정 사용의 판단은 오직 법원만이 합니다, 오직 법원 만이 합니다 - 영상 참조
실전 조언: 공정 사용을 주장하기보다는 처음부터 본인이 직접 제작한 콘텐츠나 로열티 프리 자원만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법적 분쟁에 휘말리면 시간과 비용이 엄청나게 소모됩니다.
6) 불펌의 세계와 SNS 복제 콘텐츠의 현실
10년 전 영상이 수백, 수천 개로 복제되어 SNS에 돌아다니는 것이 현실입니다.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Shorts 등에서 타인의 영상을 무단으로 복제해 업로드하는 사례가 만연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불펌 채널들은 언젠가는 저작권 신고나 자동 감지 시스템에 걸려 삭제됩니다. 단기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계정이 해지되고 애드센스가 정지되며, 내 명의로 다시 유튜브를 할 수 없게 됩니다.
틱톡 등 다른 플랫폼에서 내 영상이 도용당했을 때 대응 방법은 사실상 제한적입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내가 먼저 여러 플랫폼에 동시에 올리는 것입니다.
참고 영상: 불펌의 세계 - 나도 '불펌'으로 돈 좀 뽑아볼까? ㅋㅋ + 저작권 ㄷㄷ
실전 조언: 남의 영상을 보고 부러워하지 마세요. 불펌으로 돈을 버는 것처럼 보이는 채널도 언젠가는 삭제될 것입니다. 배 아파하지 말고, 본인만의 독창적인 콘텐츠를 만드는 데 집중하세요.
7) YouTube Creators 채널과 정책 업데이트 구독
YouTube Creators 채널은 유튜브 공식 채널로, 최신 소식, 업데이트, 팁, 정책 변경 사항을 제공합니다. 이 채널을 구독하면 중요한 정책 변경이나 새로운 기능 출시 시 즉시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크리에이터 팁, 성공 사례, 정책 해설 영상 등을 통해 채널 운영에 필요한 실질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정책 변경 시 공식 설명 영상이 올라오므로, 이를 통해 정확한 이해가 가능합니다.
활용 방법: YouTube Creators 채널을 구독하고 알림을 켜세요. 새 영상이 올라오면 즉시 시청하고, 자신의 채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경 사항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8) YouTube 도움말 센터와 정책 문서 정기 검토
YouTube 도움말 센터는 모든 정책 문서, FAQ, 문제 해결 가이드를 제공하는 공식 자료입니다. 커뮤니티 가이드, 저작권 정책, 수익 창출 정책, 광고주 친화적 콘텐츠 가이드라인 등 모든 정책의 원본 문서가 여기에 있습니다.
정책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므로, 월 1회 정기적으로 도움말 센터를 방문해 변경 사항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특히 수익 창출 채널이라면 광고주 친화적 콘텐츠 가이드라인을 자주 검토해야 합니다.
활용 방법: YouTube 도움말 센터를 북마크하고, 월 1회 정기적으로 방문해 최신 정책을 확인하세요.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검색 기능을 활용해 관련 문서를 찾아보세요.
9) 계정 해지와 연결 계정의 위험성
최근 유튜브는 정지된 계정에 연결된 다른 계정도 함께 해지한다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시작했습니다. 약관 위반 계정이 있으면 다른 애드센스에 연결된 계정이나 우회 계정들도 모두 해지당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한 번 위반하면 내 명의로 유튜브를 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는 의미입니다. 계정 내 모든 채널이 날아가고, 연결된 애드센스도 계속 숙청당하므로, 정책 준수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실전 경고: 절대로 우회 계정을 만들거나, 정지된 계정과 연결된 새 계정을 시도하지 마세요. 유튜브는 IP, 디바이스, 결제 정보 등을 추적하므로 우회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10) 크리에이터 커뮤니티와 정보 공유
다른 크리에이터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를 학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네이버 카페, 디스코드, 페이스북 그룹 등 크리에이터 커뮤니티에 참여해 최신 정보를 교환하세요.
하지만 불법적이거나 정책 위반을 조장하는 커뮤니티는 피하세요. 특히 "불펌으로 돈 버는 법", "저작권 피하는 법" 같은 정보는 장기적으로 채널을 파괴할 뿐입니다.
실전 조언: 건전하고 정책 준수를 강조하는 커뮤니티에 참여하세요. 다른 크리에이터의 경험담을 듣고, 정책 변경 시 함께 대응 방법을 논의하세요.
9. FAQ
Q: 2025년 2분기에 210만 개의 채널이 삭제된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A: 유튜브 공식 투명성 보고서에 따르면 삭제된 채널의 76.0%(159만 9,684개)가 스팸, 기만 행위, 사기 때문이었습니다. 그 다음으로 아동 보호 위반 7.5%(15만 8,480개), 과도한 노출 또는 성적인 콘텐츠 6.1%(12만 8,838개), 잘못된 정보 3.1%(6만 6,096개) 순입니다. 90일 내에 커뮤니티 가이드 위반 경고가 3회 누적되거나, 심각한 악용 사례가 1회 적발되거나, 가이드를 위반하는 데 전적인 의도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채널이 폐쇄됩니다.
Q: 타인의 영상을 다운로드해 재업로드하면 어떻게 되나요?
A: 저작권 소유자가 게시 중단 알림을 제출하면 해당 동영상이 삭제되고 계정에 저작권 위반 경고가 적용됩니다. 저작권 위반 경고는 90일 후에 소멸되지만, 3회 누적 시 채널이 영구 삭제됩니다. Copyright Match Tool이 원본 동영상과 일치하는 재업로드를 자동으로 감지하므로, 타인의 콘텐츠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크리에이터는 자신이 제작했거나 사용 승인을 받은 동영상만 업로드해야 합니다.
Q: 저작권 위반 경고를 받았을 때 어떻게 해결하나요?
A: 유튜브 공식 정책에 따르면 세 가지 해결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 경고 소멸 기다리기입니다. 저작권 위반 경고는 90일 후에 소멸되며, 처음 받았다면 저작권 학교를 수료해야 합니다. 둘째, 신고 철회 요청입니다. 동영상의 소유권을 주장한 사용자에게 연락하여 소유권 주장 철회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셋째, 반론 통지 제출입니다. 동영상이 실수로 삭제되었거나 공정 사용에 해당한다고 생각하는 경우 반론 통지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Q: 유튜브 정책은 얼마나 자주 변경되나요?
A: 유튜브 정책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됩니다. 주요 변경 사항은 YouTube Creators 채널을 통해 공지되며, 투명성 보고서는 분기별로 발표됩니다. 크리에이터는 월 1회 정기적으로 YouTube 도움말 센터를 방문해 최신 정책을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민감한 사건(예: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생하면 관련 정책이 즉시 업데이트되므로, 시사 이슈를 다루는 채널은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Q: 투명성 보고서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나요?
A: 투명성 보고서는 분기별로 삭제된 채널, 동영상, 댓글의 수와 사유를 제공합니다. 이 데이터를 통해 어떤 위반이 가장 많은지 파악하고, 자신의 콘텐츠가 위험 영역에 있는지 점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 2분기에는 아동 보호 위반이 영상 삭제의 60%를 차지했으므로, 아동이 등장하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크리에이터는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보고서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삭제 트렌드를 분석해 예방 조치를 취하세요.
Q: 공정 사용을 주장하면 저작권 위반을 피할 수 있나요?
A: 아니요. 공정 사용 여부는 사안별로 결정되며, 최종 판단은 오직 법원만이 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 공식 영상에서도 "공정 사용의 판단은 법원만이 한다"고 명확히 밝히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터가 스스로 "이건 공정 사용이야"라고 주장한다고 해서 인정되는 것이 아니며, 저작권 소유자가 이의를 제기하면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가장 안전한 방법은 처음부터 본인이 직접 제작한 콘텐츠나 로열티 프리 자원만 사용하는 것입니다.
Q: 불펌으로 돈을 버는 채널을 보면 부럽습니다. 해도 되나요?
A: 절대 안 됩니다. 불펌(타인 영상 무단 복제)은 저작권 침해이며, 저작권 위반 경고 3회로 채널이 영구 삭제됩니다. 단기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계정이 해지되고 애드센스가 정지되며, 내 명의로 다시 유튜브를 할 수 없게 됩니다. 최근에는 정지된 계정에 연결된 다른 계정도 함께 해지되므로, 불펌은 절대 시도하지 마세요. 역지사지로 생각해보면 피가 거꾸로 솟는 일입니다. 독창적인 콘텐츠를 만드는 데 집중하세요.
Q: YouTube Creators 채널을 구독하면 어떤 이점이 있나요?
A: YouTube Creators 채널은 유튜브 공식 채널로, 최신 소식, 업데이트, 팁, 정책 변경 사항을 제공합니다. 이 채널을 구독하면 중요한 정책 변경이나 새로운 기능 출시 시 즉시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크리에이터 팁, 성공 사례, 정책 해설 영상 등을 통해 채널 운영에 필요한 실질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정책 변경 시 공식 설명 영상이 올라오므로 정확한 이해가 가능합니다.
Q: 계정이 해지되면 연결된 다른 계정도 영향을 받나요?
A: 네, 최근 유튜브는 정지된 계정에 연결된 다른 계정도 함께 해지한다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시작했습니다. 약관 위반 계정이 있으면 다른 애드센스에 연결된 계정이나 우회 계정들도 모두 해지당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한 번 위반하면 내 명의로 유튜브를 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는 의미입니다. 절대로 우회 계정을 만들거나 정지된 계정과 연결된 새 계정을 시도하지 마세요. 유튜브는 IP, 디바이스, 결제 정보 등을 추적하므로 우회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Q: EDSA 예외란 무엇이며 어떻게 적용되나요?
A: EDSA는 교육(Educational), 다큐멘터리(Documentary), 과학(Scientific), 예술(Artistic)의 약자입니다. YouTube 커뮤니티 가이드를 위반했더라도 이러한 맥락을 포함하는 콘텐츠라면 경우에 따라 계속 YouTube에 표시될 수 있습니다. 전 세계 YouTube 검토팀은 신고된 동영상을 검토하여 교육, 다큐멘터리, 과학 또는 예술 맥락에서 예외로 인정되는 경우 콘텐츠를 게시된 상태로 유지합니다. EDSA 예외를 받으려면 콘텐츠의 목적과 맥락이 명확해야 하며, 제목, 설명, 콘텐츠 내 설명 등을 통해 의도를 분명히 해야 합니다.
Q: 썸네일도 커뮤니티 가이드의 적용 대상인가요?
A: 네, 썸네일도 커뮤니티 가이드의 적용 대상입니다. 유튜브 공식 정책에 따르면 일부 공개 및 비공개 콘텐츠, 댓글, 링크, 게시물, 썸네일 등 플랫폼에 존재하는 모든 유형의 콘텐츠에 정책이 적용됩니다. 과도한 노출, 폭력, 성적 강조가 있는 썸네일은 삭제 대상이며, 반복 시 채널 정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썸네일 정책을 준수하고, 클릭베이트보다는 콘텐츠의 실제 내용을 정확히 반영하는 썸네일을 사용하세요.
Q: 수익 창출 중인 채널이 정책을 위반하면 어떻게 되나요?
A: 광고주 친화적 콘텐츠 가이드라인을 위반하면 해당 영상의 수익 창출이 '광고 제한 또는 배제'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대다수가 광고주에게 적합하지 않거나 반복적이며 심각한 위반이 있을 경우 YouTube는 크리에이터의 전체 채널에서 광고를 사용 중지할 권리를 보유합니다. 또한 커뮤니티 가이드를 위반하면 수익 창출과 관계없이 콘텐츠가 삭제되고 경고가 누적됩니다. 수익 창출 채널은 커뮤니티 가이드와 광고주 친화적 콘텐츠 가이드라인을 모두 준수해야 합니다.
Q: 자동 감지 시스템의 결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유튜브 공식 정책에 따르면 YouTube 시스템이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니므로 자동화 시스템의 결정 사항에 대해 사람의 검토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가 실수로 삭제되었거나, EDSA 예외에 해당하거나, 공정 사용에 해당한다고 생각하는 경우 이의제기를 진행하세요. 맥락이 명확하고 정책을 준수한다면 검토 후 결정이 번복될 수 있습니다.
10. 마무리
유튜브 채널의 삭제와 정지를 피하려면 정책을 정확히 이해하고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2025년 2분기 210만 채널 삭제 사태는 정책 위반의 심각한 결과를 보여줍니다.